- 정의와 개념, 쓰임!
Cloud Computing 방식을 알기 전에 앞서, 우리들이 구축해오던 서버 방식은 어떤 것이었을지 확인, 정리해보고 넘어가자.
(1) on-Premise 방식
온프레미스(On-premise)란 소프트웨어 등 솔루션을 클라우드 같이 원격 환경이 아닌 자체적으로 보유한 전산실 서버에 직접 설치해 운영하는 방식을 말한다.
온프레미스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나오기 전까지 기업 인프라 구축의 일반적인 방식이었기 때문에 이전 또는 전통적인 이라는 단어와 함께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온프레미스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시간이 수개월 이상 걸렸고 비용 또한 많이 들어, 퍼블릭 클라우드가 나올 당시만 해도 온프레미스 환경이 금방이라도 모두 사라질 것 같았지만 보안 적인 이유로 비즈니스에 중요하고 보안이 필요한 서비스와 데이터는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덜 중요한 것은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을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IT 인프라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본격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2) Cloud Computing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클라우드(인터넷)을 통해 가상화된 컴퓨터의 시스템리소스(IT 리소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내가 VM(Virtual Machine)을 설치하면, ios 이미지를 사용하여 내 윈도우에서 linux, unix, windows 까지 서버를 또 띄울수가 있어. 물론 내 데스크탑의 하드웨어 스펙 내에서 말이지. 이렇게 한 컴퓨터 내에서 여러 컴퓨터를 만들고, 각 컴퓨터마다 다른 IP와 OS 환경을 할당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AWS, GCP, MS Azure, Naver Cloud Platform 이 제공하고 있는 것이지. 바로 이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활용해서 말이야.
* AWS, GCP, MS Azure, Naver Cloud Platform 은 정확히 어떤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할까
- Iaas(Infra As a service)
: 대학교 소프트웨어공학 시간 때 클라우드에 대해 발표했을 때는 와닿지 않았던 개념들이었는데, 클라우드 환경에서 직접 프로젝트를 경험하고 다시 보니까 확실히 정리가 되는 것 같다.
Iaas 는 사용자에게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 예를 들면 노트북을 샀을 때 OS 도 설치되지 않은 하드웨어 그 상태를 사용자에게 웹에서 제공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AWS 에 가입하면 1년동안 무료로 신규 가입자에게 Iaas 를 제공하며 주어진 메모리, 용량 내에서 내 마음대로 리소스를 활용할 수 있는 것이지. 이름처럼 Infra 를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
- Paas(Platform As a service)
: 이름처럼 Platform 을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 그렇다면 Platform 은 무엇일까? 소프트웨어, 앱을 개발하기 위한 환경, 플랫폼이다. 2018. 05 ~ 2019.06 까지 참여했던 SK Hynix 프로젝트에서 Paas 팀이 있었지만 Framework 팀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을 돕는 빌드배포 도구 등을 개발하기도 했었고 경계가 애매했던 적이 있었다. 세상은 넓고 케바케겠지만 Paas 란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통해 웹에서 플랫폼 형태를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이다!
- Saas(Software As a service)
: 마지막으로 Saas. 소프트웨어를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 에버노트, 구글 드라이브, Gmail 등. 가장 정확하고 명료한 예.
'Room 101. 개발 지식 관련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 렉쳐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위한 사전 지식] 학습! (0) | 2020.05.20 |
---|